|
Calculator No |
|
Calculator Title |
Uploader |
Date |
View |
Book Mark |
1115314 |
 |
□ 단위변환(unit conversion), 경사(slope) 1:n → 퍼센트(%) 경사로 변환[0]
|
혼술혼밥 |
2024-01-19 |
1203 |
로그인 login |
1115313 |
 |
□ 단위변환(unit conversion), 경사(slope) 1:n → 각도(deg) 로 변환[0]
|
혼술혼밥 |
2024-01-18 |
1051 |
로그인 login |
1114962 |
 |
□ 항공사진측량(aerial survey), 렌즈의 초점거리와 축척(scale)으로 비행고도 구하기[0]
|
pleiades |
2022-05-24 |
806 |
로그인 login |
1114961 |
 |
□ 항공사진측량(aerial survey), 렌즈의 초점거리와 비행고도로 축척(scale) 구하기[0]
|
pleiades |
2022-05-24 |
653 |
로그인 login |
1114698 |
 |
□ 거리와 높이로 각도 구하기[0]
|
어제처럼 |
2022-03-17 |
1245 |
로그인 login |
1114670 |
 |
□ 수준기 감도에 따른 수준 오차[0]
|
혼술혼밥 |
2022-02-26 |
887 |
로그인 login |
1114669 |
 |
□ 기포관(level tube)의 감도, mm/m → α (″)[0]
|
혼술혼밥 |
2022-02-26 |
900 |
로그인 login |
1114668 |
 |
□ 수준기 기포관(level tube)의 곡률반경(radius of curvature), 한 눈금의 길이와 감도 이용[0]
|
혼술혼밥 |
2022-02-26 |
1494 |
로그인 login |
1114665 |
 |
□ 폐합 트래버스 측량(closed-loop traverse surveying), 폐합비[0]
|
황금마차 |
2022-02-22 |
1379 |
로그인 login |
1114657 |
 |
□ 토공량 산정, 심프슨(Simpson) 1법칙 적용[0]
|
밍기적 |
2022-02-21 |
1371 |
로그인 login |
1114646 |
 |
□ 축척(scale) 변경에 따라 변경된 길이(Length)[0]
|
혼술혼밥 |
2022-02-18 |
821 |
로그인 login |
1114641 |
 |
□ 삼각형 면적 (area of triangle), 밑변의 길이와 빗변의 동일방향 기울기 이용[0]
|
pmsix |
2022-02-15 |
757 |
로그인 login |
1114640 |
 |
□ 삼각형 면적 (area of triangle), 밑변의 길이와 빗변의 반대방향 기울기 이용[0]
|
pmsix |
2022-02-15 |
820 |
로그인 login |
1114625 |
 |
□ 높이와 각도로 거리 구하기[0]
|
어제처럼 |
2021-12-28 |
1189 |
로그인 login |
1114573 |
 |
□ 기지선의 길이와 양 끝각, 연직각을 이용하여 높이 구하기[0]
|
황금마차 |
2021-09-19 |
971 |
로그인 login |
1114515 |
 |
□ 길이와 각도로 높이 구하기[0]
|
어제처럼 |
2021-03-14 |
1136 |
로그인 login |
1114446 |
 |
□ 지구 위에서 거리 L 만큼 떨어진 곳을 관측하기 위한 높이[1]
|
황금마차 |
2021-01-27 |
939 |
로그인 login |
1114445 |
 |
□ 구 위의 임의의 높이에서 관측될 수 있는 최소 높이[0]
|
황금마차 |
2021-01-27 |
1343 |
로그인 login |
1114443 |
 |
□ 수준측량, 지반고 구하기[0]
|
황금마차 |
2021-01-27 |
2193 |
로그인 login |
1114442 |
 |
□ 측량의 정도에 따라 평면으로 간주할 수 있는 지구 상의 원지름 구하기[0]
|
황금마차 |
2021-01-26 |
1170 |
로그인 login |
|